임대소득세는 주택이나 상가를 임대해 얻는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
이를 계산하기 위해 먼저 연간 임대 수입을 확인하고, 수리비, 관리비 등 임대 운영에 사용된 필요경비를 차감합니다.
주택 임대 소득의 경우, 연간 400만 원까지는 기본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이렇게 공제된 금액이 과세 표준이 되며, 이 금액에 따라 소득세율이 적용됩니다.
소득세율은 소득이 많을수록 높아지며, 6%에서 최대 45%까지 적용됩니다.
예를 들어, 연간 임대 수입이 600만 원이고 필요경비가 100만 원이라면, 과세 표준은 100만 원이 되며 이에 대해 세율이 적용됩니다.
임대소득세는 매년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신고하며, 정확한 신고가 중요합니다. 이를 통해 불필요한 가산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.
계산 방법
- 연간 임대 수입과 필요경비, 기본공제액 입력
- 과세표준 검색결과 확인
- 표를 통해 해당 금액 확인
- 세율 적용하여 계산
- 해당 세율에 있는 누진공제액 입력 후 계산
임대소득세 계산기
연간 임대 수입: 임대 부동산에서 발생한 연간 총 수입입니다.
필요경비: 임대 수입을 얻기 위해 발생한 경비입니다.
기본 공제액: 임대 소득에서 공제되는 기본 금액입니다.
세율: 소득에 적용되는 세율입니다.
누진 공제액: 소득세 계산 시 적용되는 누진 공제액입니다.
과세표준
0원
세율 적용 세금
0원
최종 임대소득세
0원
세율 (23년)
과세표준 (연간 소득) | 세율 | 누진공제액 |
---|---|---|
1,200만 원 이하 | 6% | 0 원 |
1,200만 원 초과 ~ 4,600만 원 이하 | 15% | 108만 원 |
4,600만 원 초과 ~ 8,800만 원 이하 | 24% | 522만 원 |
8,800만 원 초과 ~ 1억 5천만 원 이하 | 35% | 1,490만 원 |
1억 5천만 원 초과 ~ 3억 원 이하 | 38% | 1,940만 원 |
3억 원 초과 ~ 5억 원 이하 | 40% | 2,540만 원 |
5억 원 초과 ~ 10억 원 이하 | 42% | 3,540만 원 |
10억 원 초과 | 45% | 6,540만 원 |